Programing375 MongoDB란? (vs Supabase와의 비교) MongoDB란?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중 하나.https://www.mongodb.com/try/download/community Try MongoDB Community EditionTry MongoDB Community Edition on premise non-relational database including the Community Server and Community Kubernetes Operator for your next big project!www.mongodb.com 주요 특징NoSQL 방식, JSON 기반 데이터 베이스구글의 firebase와 비슷한 방식이며, 새로 입문하는 분들은 Supabase라는 Saa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고 본인도 그렇게 시작했기에 어.. Programing/Server 2025. 2. 11. 더보기 ›› HTML5 기본 템플릿 코드 <head> 기본 템플릿 코드 This is a simple HTML + CSS template! HTML:5 버전의 기본 템플릿은 보통 위와 같다.여기서 meta 태그는 일부러 몇 개 더 추가한 것이다.하나씩 내용을 살펴보겠다. 별 다른 기능을 하진 않는다.'이 문서는 HTML:5로 이루어진 문서'라는 것을 선언하는 것이고, 웹 브라우저가 문서를 잘못 읽어 개발자의 의도와 다르게 렌더링 하지 않도록 도와준다.닫는 태그는 필요 없다. ...이 문서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것이 태그이다.이 html 태그의 주요 속성은 lang이 있고, 어떤 언어로 이 문서가 작성되었는 지를 선언하는 역할을 한다. 값으로는 en, ko 등이 있다.이를 어떤 것으로 작성해도 렌더링 하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한국인이 타.. Programing/HTML 2025. 2. 6. 더보기 ›› 모던 HTML의 이해 들어가기에 앞서codesandbox.io에 접속하면 에디터가 없는 환경에서도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리액트 등의 라이브러리까지 웹에서 활용하며 간단한 학습을 할 수 있다. Emmet에서 HTML5 기본 템플릿 생성하기대부분의 코드 에디터에서는 HTML 기본 템플릿을 만들어준다.이것을 Emmet(에밋)이라 한다.html:5를 입력하고 tab 또는 enter를 입력하면 위와 같은 템플릿이 자동으로 생성된다.HTML5 기본 구조의 의미문서가 HTML5의 표준을 따르고 있음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특별한 기능은 없다. 닫는 태그도 필요 없다.이 요소는 웹 브라우저가 문서를 해석할 때 HTML5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HTML 문서에서 가장 최상위 요소이며, 문서.. Programing/HTML 2025. 1. 20. 더보기 ›› HTML이란? 웹이 보여지는 기본 원리우리는 브라우저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개발자가 미리 코드로 작성해 놓은 웹 페이지의 묶음을 쉽게 시각화하여 보고 이용한다.우리가 눈으로 보는 웹 페이지는 가장 먼저 HTML이라는 코드로 작성되어 있다.굵은 글씨꺽쇠 괄호 안에 미리 지정된 코드를 넣고, 슬래시로 끝나는 지점을 닫으면서 서식을 지정하는 것이다.그런데 저런 형태는 단순히 텍스트를 보여주기만 하는 형태이다. 위의 예제인 볼드 태그도 최신 마크업에서 등장한 것이고, 원시 웹에서는 정말 기본적인 텍스트만 렌더링 해주는 모습이었다.메모장을 생각해보면 우리가 메모장에 텍스트를 쭉 나열하는 것이 바로 원시 웹의 마크업 언어이다. 그리고 우리가 이것을 텍스트 편집기나 word 같은 프로그램으로 글자 크기도 바꾸고, 이미지.. Programing/HTML 2025. 1. 15. 더보기 ›› [2024-01-14] 우리나라는 왜 아직도 아래 한글을 쓰는가? 아래 한글 때문에 생기는 불편함 나는 공공기관과 일을 할 일이 많았기 때문에 아래 한글과 뗄래야 뗄 수가 없었다.그래서 아래 한글과 관련한 단축키는 꾀고 있을 정도지만, 또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금세 잊어 버린다.이것 말고도 외워야 할 단축키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 몇 시간 만져보면 금세 익숙해지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word 등의 office 툴이 지배적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왜 아래 한글 사용이 이렇게 많을까? MS에서의 오피스 툴이 지배적이고, google에서도 웹에서 사용 가능한 docs 등을 내놓았으며 꽤 많은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고 클라우드와 연계해서 상당히 강력한 툴이 되었다. 생태계 또한 우리나라에 국한되는 아래 한글과 다르게 전 세계적이기에, 원하는 기능을 얼마든지.. Programing/TIL 2025. 1. 15. 더보기 ›› 이전 1 2 3 4 5 6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