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ing375

[코드팩토리] 반복문(Loops) 반복문 : Loops 반복적인 작업을 할 때 많이 쓰이는 필수로 숙지하여야 하는 문법이다. for 반복문 기본형 : for(변수 할당; 확인할 값; Loops가 1번 실행될 때마다 할 행동;) {for 반복문이 한 번 실행될 때마다 할 행동} 예제 코드 해석 i라는 변수에 0이라는 값을 할당한다. 그리고 i가 10보다 작은지 확인한다. true라면 중괄호 안의 함수를 실행한다. (콘솔에 i의 값을 출력한다) 그리고 i를 ++ 한 단계 증가시켜서 다시 i의 값이 10보다 작은지 확인한다. true라면 중괄호 안의 함수를 실행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다가 i가 10이 되었을 때는 i가 10보다 작은 것이 아니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는다. 즉 콘솔에 i를 출력하지 않는다. * 보통 반복문에서는 .. Programing/JavaScript 2024. 3. 3.
[코드팩토리] if문과 Switch if 문 기본형 : if (True나 False를 판단해야 하는 값) {참일 때 실행할 값;} else {거짓일 때 실행할 값;} 기본 예제 : 1번만 사용하는 경우 let number = 5; if (number % 2 === 0) { console.log("짝수입니다."); } else { console.log("홀수입니다."); }; let으로 number라는 변수의 값을 5로 할당. number % 2 === 0 : number의 값을 2로 나누었을 때 그 값이 0이냐? {참이라면 콘솔에 "짝수입니다"를 출력해라}; else 아니면 {거짓이라면 콘솔에 "홀수입니다"를 출력해라}; if문의 중첩 : 2번 이상 중첩하는 경우 기본형 : if (True나 False를 판단해야 하는 값) {참일 때 실행.. Programing/JavaScript 2024. 3. 2.
[코드팩토리] Memory 메모리란? CPU vs Memory(ram) CPU는 실제로 연산을 하는 영역 Memory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 메모리셀은 1개당 1byte의 저장공간을 갖는다. 메모리셀은 0x000000, 0x000001의 형태로 각각의 고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예를 들어 0x000001에 숫자 2, 0x000002에는 숫자 3, 0x000003에는 숫자 6을 저장해두었다고 치면 우리가 let calc 2*3라는 코드를 작성하면 0x000003에 calc라는 변수가 저장되어 불러와지는 것이다. 복잡하게 메모리셀 주소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변수를 선언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ZOVG7_41kJE&t= 보충자료 : https://www.you.. Programing/JavaScript 2024. 3. 2.
[코드팩토리] Operators : 연산자 연산자의 종류 산술 연산자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나머지 (나눗셈을 하고 났을 때의 나머지를 의미함, %) 아래처럼 괄호를 써서 우선 계산해야 하는 것도 표현 가능하다. 괄호가 없었으면 110이 나와야 하는 값이다. 증가와 감소 이미 담아둔 변수의 값에 +나 -의 기호로 수치를 더하는 방법이다. 연산자의 위치에 따른 계산 순서 연산자를 어디에 쓰느냐에 따라 계산 순서가 정해진다. number와 result라는 변수에는 각각 1이라는 값을 담았다. 3번째줄에서 로그로 result나 number의 값을 출력하라고 하면 당연히 1이라는 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5번째줄에서 result의 값을 변경한다. (const로 선언하면 값을 못바꾼다. 예제는 let으로 선언했기에 가능하다.) .. Programing/JavaScript 2024. 3. 2.
[코드팩토리] 호이스팅:Hoisting 개념 모든 변수 선언문이 코드의 최상단으로 이동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을 이야기한다.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Top to Bottom의 개념이다. 이것은 위에서 쓰인 함수부터 차례대로 실행한다는 의미인데, 호이스팅은 변수를 선언하면 그 변수들을 미리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나중에 호출이 되면 값을 출력해주는 방식을 일컫는다. 위의 코드는 정상적이다. fruit라는 변수에 사과라는 값을 담았고 이를 콘솔에 출력했더니 정상적으로 사과라는 string이 출력됐다. 그런데 이 경우를 보면 1번줄의 console.log(fruit);는 분명히 변수가 선언되기도 전에 쓴 함수이기 때문에 에러가 출력되어야 하는데 변수의 초기화를 의미하는 undefined가 출력됐다. 2번째 줄에서 변수를 선언한 것인데 변수를 최상.. Programing/JavaScript 2024.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