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ing375

[코드팩토리] 객체 기본 (Object basics)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object)는 사용빈도가 가장 높고 정말 중요한 기능이다. 그리고 이 객체를 다루는 능력에 따라 코드의 품질과 개발자의 실력차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기능이다. 따라서 심도있게 공부하면 좋다. 객체(Object)는 속성들의 집합이고 비슷한 속성을 가진 값들을 묶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그 객체는 key : value가 쌍으로 중괄호 안에 묶여있다. 객체를 선언하는 방법 일반적인 방법 기본형 : let(const 등) 변수명 = { key : value }. let wonyoung = { name: '장원영', group: '아이브', }; console.log(wonyoung); 그런데 key : value에서 value에는 함수가 들어갈 수도 있다. let wonyoung = { na.. Programing/JavaScript 2024. 3. 5.
[코드팩토리] 어레이 함수 (Array Functions) Array 함수 타입은 Object 타입 다음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함수이다. 이번 내용에서는 그 중에서도 사용빈도가 높은 어레이 함수에 대해 다룬다. 기본형 let 변수명 = ['인덱스0번에해당하는값', '2번값', '3번값'...]]; let iveMembers = [ '안유진', '가을', '레이', '장원영', '리즈', '이서' ]; console.log(iveMembers); 위와 같이 Array 기본형으로 구성하면 아래와 같이 콘솔에 출력된다. push() Array의 가장 마지막 인덱스에 값을 추가하는 함수 기본형 : 변수명.push('추가할값'); let iveMembers = [ '안유진', '가을', '레이', '장원영', '리즈', '이서' ]; console.log(iveMembe.. Programing/JavaScript 2024. 3. 5.
[코드팩토리] 함수의 기본기 (Function Basics) 개념 개발자는 DRY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좋다. D : Don't R : Repeat Y : Yourself 즉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반복적인 작업은 하지 말라는 뜻이다. function을 활용하면 반복적인 코드 입력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함 function 함수명(){함수내용} 아래와 같은 상황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console.log((3 * 10 / 2 % 3).toSring()); console.log((2 * 10 / 2 % 3).toSring()); 앞의 3과 2만 바뀌었을 뿐 나머지는 동일하다. 계속 반복해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럴 때 저 계산식 자체를 함수로 만들어주면 나중에는 함수만 호출해도 작동이 된다. funtion calculate() { console.lo.. Programing/JavaScript 2024. 3. 4.
2024-03-03 황금연휴를 활용한 개인학습 HTML과 CSS를 공부하는데는 속도감이 있게 진행할 수 있었다. HTML부터 시작해서 보기만해도 어지러운 꼬부랑 문자를 처음 접하고 난 후에 HTML이 순으로 골격이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알겠는데 어디에는 라고 하고, 어디에는 별도로 head내에 내부에 작성해서 h1 { color: red; } 라고 작성하라고 하고, 이것이 CSS를 말하는 것 같긴 한데, CSS가 꾸며주는 거라곤 알겠는데, 어떤 것이 HTML의 속성이고 CSS의 속성인지. 어디에 위치를 해야 맞는 것인지조차 1주일이 지나도 이해가 되질 않았다. 아무래도 처음이다보니 속성으로 진행되는 유튜브 강의들이나 인터넷 자료들은 나에게 맞지 않았던 것 같다. 영어 알파벳을 모르는데 영어 작문을 잘 해보겠다고 바로 작문수업에 들어간 것과 같았다. 그.. Programing/TIL 2024. 3. 3.
[코드팩토리] 타입 변환 (명시적 & 암묵적) (Coercion) 자바스크립트에는 Number type, String type 등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이 있다. 그 데이터 타입을 변환하는 방법으로 명시적 방법과 암묵적 방법이 있다. 암묵적 타입 변환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암묵적으로 타입이 변환되는 경우가 있다. 명시적으로 내가 의도해서 타입을 바꾼 것이 아니라 암묵적으로 데이터 타입이 바뀌어 버리는 경우를 이야기하는데 실무에서 이를 의도적으로 쓰는 일은 없다. 또한 암묵적으로 타입이 변환되는 경우를 알아야 같은 값을 보여준다 하더라도 가독성이 떨어지는 지저분한 코딩을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의도해서 쓰진 않더라도 알고는 있어야 한다. 다른 언어에서는 애초에 이런 코드의 입력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데 자바스크립트에서만 코드 입력 자체가 허용되는 특이한 경우이기도 하다.. Programing/JavaScript 2024. 3. 3.